
공통 , 띄어쓰기 samba = 띄어쓰기 /etc/aliases = 콤마 reverse zone = 점. 도메인 뒤 / (전부다 점 붙음) /etc/hosts.allow = 대역만 뒤에 점 / 도메인은 앞에 점 (localhost는 점아무것도안붙음) help::include:/etc/helpdesk PREROUTING = 외부 -> 내부 도착 POSTROUTING = 내부 -> 외부 nat reverse zone, samba, wrapper = 192.168.0. 나머지 = 192.168.0.1/24 1901 까지 다함ㅁ /proc/partitions or /etc/blkid/blkid.tab = 장치 인식 또는 파일명 확인 yum -ql (--query-list) = 패키지가 설치한 파일 및 디렉터리 ..

💡 NFS & Link 1. 서버간 nfs 파일시스템 공유 하기 ( 공유 디렉토리 설정은 자유, 읽고 쓰기 가능, nfs 버전 3 및 백그라운드 시도 마운트 설정 )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 마운트시도 : /etc/filesystems 에 bg 및 intr 옵션을 정의 2. nfs 클라이언트에서 /home/data 디렉토리의 데이터가 실제 nfs로 공유한 디렉토리로 쌓이도록 설정 3. pw 없이 crontab symbolic link 걸기 (/home/data 에 쌓인 파일을 임의로 만든 파일로 동기화되도록) 💡 Backup & Scheduling 1. 1번 노드 임의의 디렉토리의 자료를 2번 노드 /bakcup 디렉토리에 매일 새벽 시간에 동기화 될수 있도록 설정 만든자료 내부 crontab 파일 확인 💡..

💡 Docker 1. 노드1에 CentOS7 오피셜 이미지 pull 2. CentOS7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생성 3. 생성한 컨테이너에 APM 설치 및 워드프레스 설치 하여 페이지 출력 확인 ( 웹페이지 접속 포트는 8080 ) 4. 노드2에 도커 Private Registry 구축 후 위에서 생성한 웹 컨테이너 이미지를 Push 5. 위에서 Push 한 이미지를 노드1에서 Pull 6. 만들어진 해당 컨테이너를 내 테스트 k8s 클러스터에 Pod 형태로 Deploy 💡 LVM 1. 노드1에 추가되어 있는 sdb 장치를 /home 마운트 (LVM 으로 파티션 생성, 파일시스템 자유) 2. 노드1에 추가되어 있는 sdc 를 이용하여 /home 디렉토리 용량 증설 💡 Shell Script 1. 노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