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💡 의존관계 자동 주입
1.1. 의존관계 주입의 4가지 방법
- 생성자 주입
- 수정자 주입(Setter)
- 필드 주입
- 일반 메소드 주입
1.1.1. 생성자 주입
- 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됨
- 보통 '불변,필수' 의존관계에 사용
- 중요! 생성자가 딱 1개만 있으면 @Autowired를 생략해도 자동 주입됨 (스프링 빈에만 해당)
1.1.2. 수정자 주입(Setter)
- 선언한 필드를 Setter를 사용해서 각각의 set 마다 @Autowired를 해줌
- '선택,변경' 가능성이 있는 의존관계에 사용
- @Autowired(required = false) 를 해주면 주입 대상이 없어도 정상동작하게 할 수 있음
- 수정자 주입의 단점으로는 public으로 열려있기 때문에 보안관점에서 좋지 않다
1.1.3. 필드 주입
- 말 그대로 필드 옆에 @Autowired만 붙이면 의존성 주입이 됨
- 외부에서 변경이 불가능해서 테스트가 힘듬
- DI 프레임워크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수 없다
- 보통 테스트코드에서만 사용한다
- 그냥 쓰지 말자!
1.1.4. 일반 메소드 주입
- 한번에 여러 필드를 주입 받을 수 있다
- 일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
2. 💡 옵션 처리
- 주입할 스프링 빈이 없어도 동작해야될 때가 있다
- 하지만 @Autowired만 사용하면 required 옵션의 기본값이 true이므로 자동주입대상이 없으면 오류 발생함
- 자동주입대상을 옵션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
- @Autowired(required = false) : 자동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수정자 메소드 자체가 호출안됨
- org.springframework.lang.@Nullable : 자동주입 대상이 없으면 null이 입력됨
- Optional<> : 자동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Optional.epmty가 입력됨
- 아래는 3가지 방식의 코드 예시 (bean으로 등록이 안된 Member를 호출)
- 1번 = 아무런 메소드 호출 없음
- 2번 = null 반환
- 3번 = Optional.empty 반환
'Inflearn 강의 > Spring 핵심원리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 - Bean Scope & Web Scope (request) (0) | 2022.10.22 |
---|---|
9 - Bean 초기화, 소멸 메소드 (0) | 2022.10.22 |
7 - Component Scan (0) | 2022.10.18 |
6 - @Confituration과 Singleton / 바이트코드 조작 (0) | 2022.10.17 |
5 - Singleton Container with Stateless (0) | 2022.10.17 |